본문 바로가기
일상다반사/잡다구리

축의대 보는 방법

by caramba 2024. 12. 6.

적정 인원

최소 2명, 3명이 가장 좋아요.

 

■ 축의대 인원 역할 2 + 1명 ( A, B + C )

A : 하객 맞이, 하객 이름 담당

  • 봉투에 이름이 잘 써있는지 확인 후 B에게 봉투를 건네주기
  • 방명록에 하객 성함 작성 유도
  • 인원 수 별로 식권 챙겨주기

 

B : 돈 액수 확인 담당, 기록 담당

  • A로부터 전달 받은 봉투에서 돈을 꺼내서 액수를 확인하고 다시 넣기
  • 봉투에 축의 금액을 기재하기
  • 봉투는 한 곳에 잘 모아두기 ( 서랍, 고무줄 )
  • 정산 장부에 번호, 성함, 금액, 지급 식권 개수 작성

 

C : 하객 문의 사항 대응 ( Optional )

 

축의대 종료 후

  • 신랑 신부와 축의금을 어떻게 해야할 지 협의하면 좋음 (가방에 챙겨 다닐지 / 차에 넣어놓기 / 누구에게 맡기기)
  • 모든 일정이 끝나고 신랑 신부가 정산실로 오면 정산실에서 만나기
  • 금액을 다 맞춘 후 헤어지기

 

FAQ

  1. ATM 위치
  2. 화장실 위치
  3. 신부대기실 위치
  4. 주차권 수령 위치
  5. 무료 주차 시간
  6. 식사 장소
  7. 식사 시간
  8. 어린이(소인) 몇 살부터?
  9. 어린이(무료) 몇 살까지?
  10. 답례품 유무

 

돌발 상황

  1. 식권이 모자란 경우 - 신부 가방순이 or 신랑,신부에게 여분의 식권 
  2. 빈 봉투, 소액만 넣고 식권 달라고 함
  3. 식권을 지나치게 많이 달라고 함 ( 10장 )
    -> 축의대에서 처리 불가하니 신랑/신부 측에 직접 수령하시라고 안내 

  4. 계좌이체 했다며 식권 달라고 함
  5. 혼주, 신랑, 신부 확인 했다며 축의금 없이 식권 요청
    -> 관계자에게 확인 or 빈 봉투에 이름&식권 개수 기재

  6. 축의금을 아까 냈는데 식권을 하나만 더 달라고 함
    -> 이름을 물어본 후 정산 장부에 이름 존재 여부 확인 

 

축의대 안내문 

  • 예식에 대한 정보, FAQ, 진행에 필요한 사항이 정리되어있는 안내문이 있는 경우가 있음

 

 

 

 

 

댓글